샤워하면서 소변을 보는 것이 건강과도 관련이 있다는 기사가 있어 가지고 왔다.
샤워를 하며 소변을 보는 것은 흔한 행위지만, 이에 대한 사람들의 시각은 다소 엇갈린다.
일부는 위생적이지 않다며 부정적인 반응을 보이는 반면, 일부는 자연스럽고 물 절약에도 도움이 된다고 주장한다.
실제로 미국 여론조사 업체 토커리서치(Talker Research)가 2000명의 미국인을 대상으로 설문을 진행한 결과, 4명 중 1명이 샤워 중 소변을 본다고 응답했다고 미국 뉴욕포스트가 최근 보도했다.
누가 샤워 중 소변을 가장 많이 볼까?
설문에 따르면, 응답자의 12%는 매일, 또 다른 12%는 일주일에 몇 차례 샤워 중 소변을 본다고 답했다.
연령별로 보면 밀레니얼 세대(1981~1996년생)의 약 25%가 샤워 중 소변을 본다고 응답한 반면, X세대(1965~1980년생)는 13%, 베이비붐 세대(1946~1964년생)는 6%로 세대별 차이가 있었다.
성별에 따른 차이도 존재했다.
남성의 30%, 여성의 20%가 샤워 중 소변을 자주 본다고 답했으며, 특히 남성은 이를 자연스러운 행동으로 받아들이는 비율이 더 높았다.
샤워 중 소변, 단순한 습관일까? 심리적 요인은?
이 같은 행동에는 단순한 생리적 이유 외에도 심리적 요인이 작용할 가능성이 있다.
결혼 및 가족 치료사인 클린트 크라이더는 샤워 중 소변을 보는 행위가 현대인의 '멀티태스킹 강박'과 관련이 있을 수 있다고 분석했다.
그는 "샤워 중 소변을 보는 것은 휴식을 취해야 할 순간까지도 효율적으로 사용하려는 강박적인 욕구를 반영할 수 있다"며, "어떤 사람들에게는 이는 사회적 규범을 깨는 작은 반항이지만, 어떤 사람들에게는 순전히 시간을 절약하려는 행동일 수 있다"라고 말했다.
이어 "사적인 공간에서 만들어진 습관은 우리가 스트레스를 어떻게 처리하는지를 보여준다"며, "만약 모든 순간을 '가장 효율적으로 사용해야 한다'는 강박으로 인해 샤워 중 소변을 보는 것이 습관화된다면, 이는 시간 부족에 대한 깊은 불안의 신호일 수 있다"라고 덧붙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는 샤워 공간은 혼자만의 시간을 가질 수 있는 몇 안 되는 장소 중 하나이기 때문에, "만약 이 행위가 해방감을 가져다준다면 굳이 죄책감을 가질 필요는 없다"라고 조언했다.
샤워 중 노래를 부르거나 공상을 하는 등의 방법으로 작은 기쁨을 찾는 것이 자기 관리의 좋은 방식이 될 수 있다고도 했다.
샤워 중 소변보는 행위, 건강에는 어떤 영향을 미칠까?
많은 사람들이 소변은 무균 상태이므로 샤워 중 배출해도 문제가 되지 않는다고 생각하지만, 의학적 관점에서는 위생과 골반 건강 측면에서 주의가 필요하다는 의견도 있다.
소변 자체는 건강한 사람의 경우 대부분 멸균 상태로 배출되지만 완전히 깨끗하다고 할 수는 없다. 특히 요로감염(UTI)이 있는 경우, 소변에 박테리아가 포함될 수 있다. 샤워기와 배수구 주변에는 세균이 서식할 가능성도 있어, 지속적으로 샤워 중 소변을 보면 이러한 세균이 퍼질 위험이 있다.
미국 질병통제예방센터(CDC)에 따르면, 배수구와 욕실 환경은 박테리아 및 곰팡이가 번식하기 쉬운 장소이므로 정기적인 청소가 필요하다. 따라서, 샤워 중 소변을 보려면 욕실을 자주 소독하고, 물을 충분히 흘려보내는 것이 중요하다.
특히 여성에게 골반저 근육에 영향 미칠 수도
샤워 중 소변을 보는 행위가 여성의 골반저 근육에 영향을 줄 수 있다는 지적도 있다.
미국의 물리치료사이자 골반 건강 전문가인 알리사 해럴슨은 "샤워 중에 소변을 보는 것이 장기적으로 골반저 근육의 정상적인 기능을 방해할 수 있다"라고 경고했다.
보통 우리는 앉아서 소변을 보는데, 샤워 중 소변을 보면 서 있는 상태에서 소변을 배출하는 습관이 형성될 수 있다. 이는 방광과 골반저 근육의 신경 연결을 혼란스럽게 만들고, 소변이 새는 요실금을 유발할 가능성을 높인다는 것이다.
특히, 골반저 근육이 약한 여성은 서서 소변을 볼 경우 방광이 충분히 비워지지 않을 수도 있다. 장기적으로는 배뇨 조절 능력이 약해질 위험이 있으며, 나이가 들면서 요실금으로 이어질 가능성도 있다.
방광의 조건반사 일으키기도… 물소리 만들어도 소변 마려운 현상
심리학적으로 보면, 샤워 중 소변을 보는 행위가 방광의 조건반사를 형성할 가능성이 있다. 다시 말해, 샤워기에서 물이 나오는 소리를 들으면 자동적으로 소변을 보고 싶어지는 습관이 만들어질 수 있다는 것이다.
전문가들은 "이러한 습관이 반복되면, 실제로 화장실에 가지 않았는데도 물소리만 들어도 방광이 반응하여 소변이 마려운 느낌이 들 수 있다"라고 설명했다.
이 때문에 방광이 필요 이상으로 자주 신호를 보내는 '과민성 방광'이 유발될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물소리와 배뇨를 연결 짓는 습관은 장기적으로 방광 건강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것이다.
따라서 샤워 중 소변을 보는 것이 큰 문제가 되지는 않지만, 자주 반복하는 것은 권장되지 않는다. 대신 정기적인 화장실 습관을 유지하고, 필요할 경우 샤워 전에 미리 소변을 보는 것이 방광 건강을 위해 더 나은 선택이 될 수 있다.
지해미 기자 pcraemi@kormedi.com
'건강' 카테고리의 다른 글
호주 두통약 파나돌, 파나돌 종류 및 복용법 (7) | 2025.03.08 |
---|---|
보톡스와 필러의 차이, 보톡스와 필러 언제 선택해야 할까? (0) | 2025.03.07 |
들기름의 효능 및 부작용, 들기름 보관 방법 (1) | 2025.03.07 |
아침에 일어나면 눈 두덩이가 부어 있는데 왜 그럴까? (2) | 2025.03.04 |
기능성 샴푸로 머리 감는 법, 기능성 샴푸와 일반 샴푸의 차이 (0) | 2025.03.0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