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 옷을 바로 입어도 큰 문제는 없지만, 한 번 세탁하는 것이 더 안전하고 위생적이다.
새 옷을 세탁하고 입어야 하는 이유는 크게 화학물질 제거, 세균 • 먼지 제거, 위생과 피부 보호로 나눌 수 있다.

왜 세탁하는 게 좋을까?
1. 화학물질 제거
① 생산 과정에서 사용된 화학물질
새 옷은 원단을 가공하는 과정에서 여러 가지 화학물질이 사용된다.
대표적인 예로 포름알데히드가 있는데,
포름알데히드는 옷의 구김을 방지하고, 곰팡이와 벌레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사용되는 방부제 같은 역할을 한다.
하지만 이 성분은 피부 자극을 일으키거나 알레르기 반응을 유발할 수 있다.
특히 피부가 예민한 사람이나 어린이, 아기들은 이 화학물질에 더 민감할 수 있다.
그 외에도 염료, 접착제, 유연제, 방수제 같은 화학물질이 남아 있을 수 있다.
새 옷 특유의 냄새가 나는 경우, 이런 화학 성분이 휘발되지 않고 남아 있다는 신호일 수도 있다.
② 피부 트러블 유발 가능성
화학물질이 남아 있는 상태에서 옷을 입으면 피부에 직접 닿으면서 가려움, 발진, 두드러기 같은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피부가 예민한 사람이라면 더 심한 자극을 받을 수 있고 심한 경우에는 접촉성 피부염으로 이어질 수도 있다.
특히 땀을 많이 흘리는 여름에는 화학물질이 피부로 더 잘 흡수될 가능성이 크다.
2. 세균 & 먼지 제거
① 유통 과정에서의 오염
옷이 우리 손에 오기까지 공장 → 창고 → 트럭 운송 → 매장 진열 같은 여러 단계를 거친다.
이 과정에서 먼지, 박테리아, 곰팡이균 등이 묻을 수 있다.
또 매장에서 여러 사람들이 옷을 만지고, 입어볼 수도 있기 때문에 위생적으로 깨끗하다고 보기는 어렵다.
② 공장과 창고의 환경
옷이 제작되는 공장이나 보관되는 창고는 꼭 위생적인 환경이 아닐 수도 있다.
원단을 보관하는 곳에는 먼지가 많을 수 있고, 곰팡이 방지를 위해 강한 화학약품을 사용하기도 한다.
옷이 비닐 포장되어 있다고 해도 완전히 깨끗한 상태라고 보기는 어렵기 때문에 한 번 빨아서 입는 것이 좋다.
3. 위생과 피부 보호
① 피부에 직접 닿는 옷은 더 위험
특히 속옷, 티셔츠, 바지, 침구류처럼 피부에 밀착되는 제품은 반드시 세탁 후 사용하는 것이 좋다.
속옷은 위생적으로 가장 신경 써야 하는 옷인데, 아무도 입지 않은 새 제품이라고 세균이 묻어 있을 가능성이 높다.
면, 린넨 같은 자연 섬유는 처음 입기 전에 세탁하면 섬유가 더 부드러워져서 착용감도 좋아지고, 피부 자극도 줄일 수 있다.
② 신체 면역력을 위해서
우리 몸은 다양한 외부 물질과 접촉하지만, 면역력이 약한 사람(영유아, 피부가 약한 사람)은 새 옷의 화학물질이나 세균에 더 민감하게 반응할 수 있다.
아기 옷은 반드시 세탁 후 입히는 것이 좋다.
알레르기가 있는 사람도 새 옷을 세탁하면 피부 트러블을 줄일 수 있다.
꼭 세탁해야 하는 옷 VS 그냥 입어도 되는 옷
꼭 세탁해야 하는 옷
속옷, 수영복, 운동복, 아기 옷, 피부에 밀착되는 의류
그냥 입어도 무난한 옷
겉옷(재킷, 코트 등), 가죽 제품(세탁이 어렵기 때문)
결론
새 옷은 한 번 세탁 후 입는 것이 가장 안전하다!!
한 번 세탁하는 것이 번거로울 수 있지만, 위생과 건강을 생각하면 좋은 습관이 될 수 있다.
'건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콜라겐, 콜라겐 효능, 콜라겐 보충제 (건강식품)선택법 (1) | 2025.03.27 |
---|---|
모공, 모공 줄이는 법, 모공 피부과 시술 (2) | 2025.03.26 |
골드 키위와 그린 키위 비교, 키위 부작용 (4) | 2025.03.24 |
키위의 효능, 수면 보조제 키위, 잠 안 올 때 키위!! (1) | 2025.03.24 |
딸기의 효능, 딸기와 뇌 건강, 딸기 섭취 시 주의가 필요한 사람은? (2) | 2025.03.23 |
댓글